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3

항상 헤갈리는 Row, Column 예제로 설명 "Row"와 "column"은 모두 행렬(matrix)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행렬은 숫자들이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것으로, 각각의 숫자를 행(row)과 열(column)로 구분합니다. 행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숫자의 모음을 말하며, 열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숫자의 모음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3 x 4 행렬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위 행렬에서 첫 번째 행(row)은 "1 2 3 4"이며, 두 번째 열(column)은 "2 6 10"입니다. 2023. 4. 6.
모터 축 연결 방법 및 고려 사항 모터 축 연결 방법 모터 축 연결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 연결: 모터 축과 회전하는 기계나 장치의 축을 직접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모터와 장치의 간격이 가까운 경우 축 사이의 정렬이 중요합니다. 벨트 연결: 모터 축과 회전하는 기계나 장치의 축을 벨트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간격이 먼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기어 연결: 모터 축과 회전하는 기계나 장치의 축을 기어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송 효율이 높아 토크를 증가시키고, 장거리 전송에도 유용합니다. 샤프트 커플링 연결: 모터 축과 회전하는 기계나 장치의 축을 샤프트 커플링으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2023. 4. 6.
[영어] 치매 관련 약어 AD: 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 병)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도 인지 장애) VD: Vascular dementia (혈관성 치매) DLB: Dementia with Lewy bodies (Lewy 체 병이 있는 치매) FTD: Frontotemporal dementia (전두엽 및 측두엽 치매) PCA: Posterior cortical atrophy (후측 뇌 피질 손상)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크루츠펠트-야코브 병) PPA: Primary progressive aphasia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CBD: Corticobasal degeneration (대뇌피질 및 대뇌기저핵의 소실) LBD: Lewy b.. 2023. 4. 6.
희토류 (사용처, 환경 영향, 채굴 순위 등) 희토류란? 희토류는 주기율표에서 란타넘 및 악티늄족 원소의 일부로 구성된 17개의 원소 그룹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희토류는 희귀한 지구 희토원소로 불리며, 산업 및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희토류 원소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고온과 압력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희토류 원소는 반도체 산업, 고성능 자석 및 레이저, 화학 분석 및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희토류 원소는 극히 드문 자원으로 인해 공급이 제한되고, 채굴 및 추출 과정에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희토류의 대체물질 개발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희토류 사용처는? 희토류 원소는 다양한 분.. 2023. 4. 6.
미술관련 용어 (영어) 양식 (Style) 장르 (Genre) 비틀리즘 (Vitruvianism) 인상주의 (Impressionism) 후기 인상주의 (Post-Impressionism) 선형주의 (Linearism) 서양화 (Western painting) 서양화법 (Western painting technique) 초상화 (Portrait) 풍경화 (Landscape painting) 미술사 (Art history) 조각 (Sculpture) 드로잉 (Drawing) 물감 (Paint) 큐비즘 (Cubism) 모더니즘 (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인터미디어 (Intermedia) 모노크롬 (Monochrome) 소재 (Subject matter) 양면 (Double-sided) 아방가르드.. 2023. 4. 5.
소프트맥스 함수(softmax function) 소프트맥스 함수(softmax function) 소프트맥스 함수(softmax function)는 입력된 벡터를 정규화하여 각 원소들이 [0,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그 합이 1이 되도록 만드는 함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분류 문제에서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로 많이 사용됩니다. 소프트맥스 함수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xi는 입력 벡터의 i번째 원소이며, K는 전체 원소의 개수입니다. 소프트맥스 함수의 출력은 입력 벡터의 각 원소가 소프트맥스 함수를 거쳐 정규화된 결과입니다. 소프트맥스 함수의 주요한 특징은 입력값에 대한 변화에 따라 출력값이 확률 분포의 형태를 가지며, 출력값들의 총합이 1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소프트맥스 함수는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에서 출력층의 활성.. 2023. 4. 5.
728x90
반응형